티스토리 뷰
저장 공간은 얼마나 필요하고 어떻게 구성할까?
Intel NUC에는 총 2개의 DISK를 연결할 수 있다. SATA HDD or SSD 1개와 m.2 SSD 1개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 각 1 ~ 2 TB의 DISK를 사서 연결할 수 있고 총 2 ~ 4 TB 저장공간을 만들 수 있다.
나만의 Home Server을 구성하기 위한 공간을 한번 생각 해 보자.
- OS 100 GB: 기본
- 동영상 1 TB: 1GB 동영상 100개 수준
- IMAGE 1 TB: 10MB IMAGE file 100,000 개 수준 (매일 10장의 사진을 찍는 다면 1년은 3650장, 27년 사진 분량 )
- LOG 50 GB
- TEXT 50 GB: 메모나 문서 저장용도로 대충 50GB 정도면 충분
Home Server 구성 목적이 중요한데, 일반적으로 동영상, 핸드폰 이미지 보관, 개인 문서 편집, 메모 보관 정도 될 꺼 같다.
따라서 전체적으로 내가 필요한 용량은 약 2.2 TB 이다.
미니PC의 큰 단점은 확장성이 부족하다는 점인데, 장착할 수 있는 DISK는 아래와 같이 2.5인치 SATA DISK 1개와 M.2 DISK가 전부이다.
조금 더 용량을 확장하고 싶다면, SD카드 하나 더 추가 가능하다.
SATA SSD
오래 전부터 사용하던 Samsung SSD 750 250GB 짜리 SATA SSD 가 있었다. 4 ~ 5년 정도 되었고 아직까지 아무런 문제없이 구동 중이다. 적어도 10년 이상 구동 시킬 것을 대비해서 완전히 안전하다고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중요한 데이터는 다른 저장소에 보관해야 할 꺼 같다.
SATA SSD Lifespan
얼마나 오랫동안 더 사용할 수 있을지 확인하기 위해서 SATA SSD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수치를 한번 분석 해 보자.
- MTBF (Mean Time Between Failures): 대부분의 SATA SSD의 MTBF는 100만~200만 시간으로 평가되는데, 이는 일반적인 조건에서 수년간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. 하지만, 실제로는 여러가지 환경적 변수로 인해 그 만큼 사용하지는 어렵다.
- TBW (Terabytes Written): SSD의 수명 동안 얼마나 많은 데이터를 쓸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. 일반 소비자용 SATA SSD의 TBW 등급은 하위 모델의 경우 100TBW에서 상위 모델의 경우 600TBW 이상까지 다양합니다. 쓰기 횟수가 많을수록 일반적으로 수명이 짧아집니다. 참고로 위 제품의 경우 70 TBW 으로 하루 평균 10GB를 쓴다면, 약 19년을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.
- User Pattern: 실제 수명은 SSD 사용 방법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. 예를 들어, 쓰기 작업이 많은 작업(비디오 편집 또는 가상 머신 실행)은 웹 브라우징 또는 문서 편집과 같은 일반적인 소비자 작업에 비해 드라이브를 더 빨리 마모시킨다.
- Warrenty: 대부분의 SATA SSD에는 3~5년의 보증 기간이 제공된다. 하지만 실제 SSD 수명이 그 정도라는 것은 아니다.
M.2 NVMe SSD
그래서 안전하게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했고 SPCC M.2 PCIe SSD를 하나 더 구매했다. 얼마나 오랫동안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을지 한번 예측 해 보자.
- MTBF (Mean Time Between Failures): 150만 으로 SATA SSD와 유사한 수치이다.
- TBW (Terabytes Written): 3115 TBW 으로 SATA 대비 44배나 높은 수치이다. 하루 100GB를 써도 87년 걸린다.
결론적으로 SATA SSD 보다 최근에 출시된 M.2 SSD가 훨씬 더 오래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.
개인서버 환경이라고 해도 10년 이상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저장매체를 잘 준비하고 데이터를 보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.
Reference
'Home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neNote, Google Keep 대신 Joplin을 써보자 (0) | 2025.02.01 |
---|---|
Google Photo 대신 Immich를 써보자 (3) | 2025.02.01 |
Google Photo 사진을 Immich로 옮겨보자(Immich-go) (0) | 2025.01.31 |
Podman for Home Server (0) | 2025.01.31 |
Home Server(Personal Cloud) with NUC PC (0) | 2025.01.31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photo
- lami
- immich-kiosk
- immich
- 직수형
- joplin-vieweb
- server
- google photo
- 귀 건강
- joplin
- Desk
- 갤럭시 워치 6 클래식
- opensource
- deskterior
- immich-go
- 중력식
- Interior
- 무료
- 정수기 장단점
- podman
- 동기화
- 정수기 종류
- joplin 동기화 서버
- Home
- Grafana
- 데스크테리어
- Home Server
- 저수조형
- note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