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Home Server를 만들고 밖에서 사진, 노트 등 서비스를 접속해서 사용하던 중 뭔가 버벅임이 발생한다.외부에서도 Home Server 내부 상황을 알고 싶어서 아주 간단히 외부에서 접속해서 사용할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 해 보았다.무엇을 모니터링 할 것인가?버벅임의 원인은 보통 CPU를 과도하게 사는 상황 때문인 경우가 많다.단순히 CPU 현재 상황을 모니터링 할 뿐만 아니라 추이도 함께 볼 수 있는 도구로 Grafana 연동 가능한 시스템이 가장 적합 해 보였다. 그래서 선택한 시스템은 Node Exporter + Prometheus + Grafana 조합이다.Node Exporter 설치Prometheus node exporter는 서버에 있는 정보를 수집 해 주는 역할을 하는 모듈로 Ubunt..

Home Server에서 왜 Container 인가?집에 있는 네트워크 환경은 보안이 잘 갖추어진 환경으로 보기 어렵다. 따라서 가상화 하여 메인 OS를 보호하고 모든 서비스를 컨테이너화 한다면 보다 안전하게 프로그램을 구동할 수가 있다.그리고 관리 측면에서도 여러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때문에 충돌 문제가 덜 발생할 수 있고 프로그램 가동 유무를 하나의 Container만 모니터링 하면 되기 때문에 daemon 방식보다 더 편리하다.단, 하드웨어를 접근하고 사용하게 있어서는 다소 불편한 점이 있지만, 다음 글에서 하나씩 해결한 방법을 작성 해 보려고 한다.Podman with Intel NUCContainer하면 docker가 유명하지만, docker은 daemon 방식으로 docker daemon이 다운..

Home Server는 왜 필요할까?개인용/가족용 별도 서비스 구축클라우드 서비스 란 이름의 여러가지 개인용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지만, 개인/가족을 위한 별도의 Home 서비스가 필요할 때 Home Server 구축을 고민하게 된다. 꼭 필요한 기능 중심의 단순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목적이다.저렴한 비용 대부분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월 정액을 지불하도록 되어 있어서 몇가지 서비스 이용하는 것만으로 월 비용이 부담되는 경우가 많다. 클라우드 서비스는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, 실제 사용하는 기능은 몇가지 되지 않는다. 몇가지 기능 때문에 월 비용을 내기 아까운 경우가 많다. 이러한 측면에서 초기 비용은 좀 들지만, Home Server를 구축하는 것이 비용면에서 저렴할 수 있다.개인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저수조형
- deskterior
- 중력식
- 동기화
- immich-go
- immich
- note
- 데스크테리어
- Home
- Desk
- podman
- joplin
- 정수기 장단점
- Home Server
- joplin-vieweb
- joplin 동기화 서버
- 정수기 종류
- 직수형
- 갤럭시 워치 6 클래식
- immich-kiosk
- 귀 건강
- 무료
- opensource
- Interior
- server
- google photo
- Grafana
- photo
- lami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